Cloud

[안내] Daum클라우드 서비스 종료 안내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aum클라우드팀에서 인사 드립니다.

그동안 Daum클라우드를 이용해주신 회원님들께 세상에서 가장 어렵고 힘든 안내 말씀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치열한 시장 환경에서 Daum클라우드는 오픈 후부터 오랜 기간 동안 서비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논의를 계속 해왔습니다.

더욱이, 5년이라는 짧지 않은 시간을 Daum클라우드과 인연을 맺고 이용해주신 여러분이 계시기에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모습으로 서비스를 유지하기에는 어려움이 크다는 결론에 이르면서, 결국 종료를 안내 드리게 되었습니다. 그동안 Daum클라우드를 이용해주신 여러분께 글로 다 표현할 수 없는 감사를 드립니다. 더불어 서비스를 유지하지 못하는 점, 깊이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

종료 공지를 보시면, “내 데이터를 어떻게 백업 받지?“라는 생각을 아마 가장 많이 하시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부족하지만, 데이터를 보다 편리하게 백업 받으실 수 있도록 전용 백업 툴을 준비했습니다. 죄송한 마음을 이것으로 다 할수는 없지만, 종료일까지 백업 받으시는데 불편함이 없으시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종료 일정

  • 2015년 06월 01일(월) : 신규 가입 제한
  • 2015년 07월 31일(금) : PC에서의 백업을 제외한 모든 서비스 중단
  • 2015년 12월 31일(목) : 서비스 종료

백업 이용 안내

PC 백업앱을 통해 본인의 PC로 백업 받으실수 있습니다.

백업안내 보기

자세한 안내 및 이용법은 Daum클라우드 PC웹>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Daum클라우드 가기

서비스가 종료되는 2015년 12월31일 이후에는 모든 데이터 삭제 및 서비스가 종료 될 예정이오니, 반드시 종료 전에 PC로 백업을 완료해주시기 부탁 드립니다. 서비스 종료와 관련된 문의는 고객센터로 문의 주시면, 최선을 다해 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Daum클라우드 도움말/FAQ 가기

Daum클라우드 고객센터로 문의하기

그동안 Daum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주신 회원님들께 다시 한번 깊이 감사 드립니다

Daum클라우드 팀 올림

[안내] Daum클라우드 서비스 종료 안내 드립니다. 더 읽기"

중요: Windows Live Mesh의 다음 버전‏

Mesh 고객 여러분,

Microsoft는 최근 SkyDrive의 최신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SkyDrive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SkyDrive에서 파일 및 폴더를 선택하여 각 컴퓨터에 동기화할 수 있습니다.
  • Android v2.3 또는 Windows Phone, iPhone, iPad용 최신 SkyDrive 앱을 사용하여 SkyDrive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 Excel 양식을 비롯한 새로운 Office Web Apps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공동 작업하고, PowerPoint 및 포함할 수 있는 Word 문서를 공동으로 작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Mesh 고객의 SkyDrive 이용률이 높고, SkyDrive에 대한 반응이 긍정적이며, Microsoft가 개인 클라우드 저장소 개선에 더욱 박차를 가함에 따라 SkyDrive와 Mesh를 통합하여 언제, 어디서든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단일 제품을 만들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Mesh는 2013년 2월 13일부로 서비스가 중단됩니다. 그 이후에는 원격 데스크톱 및 피어 투 피어 동기화와 같은 일부 Mesh 기능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으며 Mesh 동기화 저장소 또는 SkyDrive 동기화 저장소라고 하는 Mesh 클라우드의 모든 데이터가 제거됩니다. Mesh와 동기화된 폴더는 더 이상 동기화되지 않으며 Mesh를 사용하여 PC에 원격으로 연결할 수도 없게 됩니다.

새로운 SkyDrive를 직접 사용해 보고 필요한 기능이 얼마나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전환 기간 동안에는 Mesh와 SkyDrive를 함께 사용하여 Mesh 파일을 동기화하세요. 이렇게 하면 기존의 Mesh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SkyDrive를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SkyDrive로 전환하는 방법에 대한 팁은 Windows 웹 사이트에서 Mesh 사용자를 위한 SkyDrive를 참조하세요. 질문이 있을 경우 SkyDrive 포럼에 올려 주세요.

그 동안 Mesh 고객 여러분들이 보내 주신 의견은 Mesh 및 SkyDrive의 발전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의 성원 덕분에 SkyDrive가 크게 발전할 수 있었고 SkyDrive를 사용하시면서도 계속해서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Windows Live Mesh 및 SkyDrive 팀

실제론 Mesh 서비스를 끝내고 SkyDrive라는 축소된/최적화된 형태로 넘어가는(사실상 옛 서비스 종료 후 새로운 제품 사용해 달라는 의미) 형태. 이후 Windows Live Messenger도 Skype로 이전해 달라고 메일이 오겠지.

중요: Windows Live Mesh의 다음 버전‏ 더 읽기"

클라우드 프론티어 2012 (3rd) 세미나

2012년 10월 24일 수요일 오전 9:54

주제: 미션 크리티컬 클라우드

  • 키노트
    • 엑센추어 mark boyle(director)
      • Enterprise cloud usage trends&insights
      • Private cloud에서 public cloud로 넘어가고 있다.
      •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많이 사용되는 이유
        • 보안, 효율적 배포, 비용 절감, 배포 리스크 감소
        • 액센츄어에서 호주 Telstra에 고도화된 클라우드를 구축해 본 경험(발표 자료 11페이지)
          • 클라이언트에 대해 가치제안 하는데 있어서도 변화를 해야…
          • 유틸리티 역량 강화보다 직원들 변화 필요
          • 기업은 복잡한 여러 파트너가 들어 있는 모델을 원하지 않는다.
            • 복잡성 감소 -> 클라이언트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프로비저닝하는 데 좋다
            • 퍼블릭클라우드 서비스 배포가 더 많은 가치를 줄 것.
    • 시스코 Enabling the World of Many Clouds (JP Van Steerteghem)
      • 전세계 IT담당자 설문
        • 2014년까지 자신들의 앱 50% 이상을 클라우드에 올리겠다고 답변(프라이빗 클라우드 포함)
        • 기업 클라우드의  ,Journey
          • 여러 서버/애플리케이션 돌리는 중… -> 통폐합 필요성
          • 데이터센터 운영: 시스코 135개 데이터센터 보유하고 있었음.
            • 22여개로 줄이기로 결정
          • 환경 가상화
            •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 가상화
            • 서버 가상화 결정: 어떤 서버를 하이퍼바이저할것인지.
            • 데스크탑까지 가상화 하게 됨
          • Operation의 표준화
            • 비즈니스 흐름과 관련 있는 부분
            • 서버 프로비저닝 하는 방법에 관련
            • 클라우드 구축시 표준화된 프로세스 마련 필요
            • 고객의 솔루션 수를 줄여줘야 함 -> 옵션 단순화로 고객의 혼란 막기
              • 서버, IO, 메모리 종류 등 선택사항을 줄이는 것이 필요
              • IT환경 자동화
              • 자동화, 자동화, 자동화!(클라우드 구축 프로세스 정립 필요)
              • Optimizing Enterprise Cloud Options: 4페이지 참조)
            • 빠른 서비스 확장 가능
              • 데이터 센터 구축 가능?
              • 성장 서비스가 아닐때 스케일 다운 가능한지…
              • 그런 역량이 없다면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야 함
                • 프라이빗, 퍼블릭,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사용 여부 확인
              • 사업 영역에 따라 다양한 클라우드 형태가 나타날 것.
              • 서비스 구축과 동시에 서비스 제공자(Service Provider)가 될 필요도.
            • 클라우드 성공 여부는  네트워크가 매우 중요
              • 네트워크 인프라 – 클라우드 사용 가능한 인프라가 필요
                • 보안, QOS, 성능보장, 최상의 경험
                • 데이터 센터 내에서 SLA를 보장 -> 하지만 데이터센터와 실 사용자 간 SLA를 보장하지 못하고 있음.
              • 자신들은 최적화된 Unified 된 fabric, computing, management를 제공
                • VDI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 ㅎ
                • Citrix & VMWare에서 GOLD Partner로…
              • 사무실에서 Gangnam Style을 본 사람?
                • WAN 속도를 잡아먹지 않으면서… 트래픽 관리 필요
              • 전 세계 어디서나 접속 가능하면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함
                • ScanSafe Connector로 연결하여 자사 서비스로 가는 트래픽이 다른 곳을 거쳐서 가도돍 유도
                • 퍼블릭 클라우드 상에서 구현됨
                  • 필요한 만큼의 성능으로…
              • Mission Critical Cloud
                • CITIES : 시스코의 내부 클라우드 서비스
                • UCS 기술을 사용중인 서버 7800+, 1000+ 비즈니스 크리티컬 앱 구동중
                • 퍼브릭 클라우드 서비스와의 통합도 준비중
              • IaaS로 가는 길은 사용자별로 다름
    • 인텔 Nick Knupffer(APAC & PRC Marketing Director)
      • 미션크리티컬
        • 그러나 IT 예산은 빡빡하다
        • 성능, 신뢰성, 가용성, 서비스 성능 개선 & 운영비용 절감
      • X86 진화
        • 90% 기업들이 x86으로 가겠다고 응답(Linux&Windows)
        • 인텔아키텍처로 옮겨가는 중
        • Legacy에서 x86으로 가는 이유
          • 서버 매출 Xeon 30% 증가 RISC 20% 감소
          • IDC, Gartner x86 시장 증가 예상
      • CPU기술
        • 서비스/소프트웨어가 중요하지 하드웨어가 중요하다곤 하지만…
        • 전략 구축 시 인텔의 tick – tock
          • 2년마다 한번 중요 기술 발전
          • 다이를 줄여서 발전해 옴
        • FAB는 비싸다. 9억~12억달러 정도 금액은 일반 기업들이 감당할 금액이 아니다
        • 트랜지스터 변화 – 무어가 스스로 변화
          • 35nm
        • 제대로 된 반도체가 있다.
          • Xeon E7 Family
            •  Power 750과 비교(IBM)
              • 시스템 비용 1/5에 불과
            • Sparc T4와 비교
              • 20% 절감 가능(위와 동일)
          • Xeon 기반 서비스를 하는 업체들이 많다
            • 2009년 윈서버2008 R2의 다운타임이 줄어들어 2011년 조사 결과 11배 향상(업타입 증가)
            • RHEL: RedHat Enterprise Linux
        • 2008년 Turbo Boost
        • 2009년 AES-NI Instruction을 추가
          • 왜 모든 트랜젝션에 대해 보안 불가능한가? 비용 때문에…
          • AES의 중요성: 보안에 대한 추가 비용 필요 없음.
          • CPU 프로세싱 보안
        • 데이터베이스가 메모리 내에서 구동: SAP의 HANA 시스템
        • 멀티부팅(OS 상) 보다 버츄얼머신을 권장
    • 오라클 김상현 전무
      • 오라클이 클라우드 대응이 늦었다
      • IBM이 경쟁자가 아니라, Amazon이 경쟁자라고 단언
      • ERP로 SAP와 경쟁이 아니라 SalesForce.com과 경쟁
      • 프라이빗 클라우드
        • 오라클이 직접 소유하고 관리하는 인프라스트럭처
        • 고객의 데이터센터에 Exalogic, Exadata 가능한 오라클 프라이빗 클라우드 임대
          • 오라클이 원격으로 매니지먼트 해 드림
      • 12c 발표(c: cloud)
        • 멀티테넌시 지원(하나의 서비스를 여럿이 마치 자신의 것처럼 사용)
  • 케이티 Mission Critical Cloud에 대해 김지윤 본부장
    • 3페이지 자료 잘 읽을 것
    • 이젠 클라우드 자체에 의문을 가지는 사람은 없다
      • 거의 모든 IT 용어에 형용사처럼 붙게 됨
      • 인터넷의 경우와 비유
      • 도입 의향을 물을 필요가 없어짐(벤더들이 클라우드 외 제품을 offer 하지 않음)
    •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우려
      • 보안
      • 연결성
    • KT가 준비해온 길
      • 사내 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형태로 제공
        • 많은 Unix 시스템을 x86 기반으로 전환
    • 미션크리티컬 클라우드는?
      • 미션크리티컬한 앱 서비스를 올릴 수 있는 클라우드
        • 기본적으로 IDC가 가장 중요
          • 장애에 대응 가능해야 함
        • 네트웤이 이원화해서 제공되어야 함
          • 중단 없이 제공되어야…
        • Operation Excellence가 제공되어야 함
          • 클라우드 솔루션은 벤더로부터 살 수 있지만, KT의 Operation Process들은 실제로 운영해 본 경험을 얻을 수 있다
      • KT의 클라우드 추진 결과
      • 버츄얼 프라이빗 클라우드
        • 나만이 쓰는…
      • 2013년에는 해외에서 서비스할 준비 中…
  • 세션
    • 트랙1
      • 한국마이크로소프트 BSJ부장님
        • 컴퓨터 네트워크 스토리지 = 클라우드
          • 멀티태넌트
        • 윈도우 서버 2012
          • 쓰고 버리는 서비스(이벤트 페이지 등)를 퍼블릭 클라우드에,
            • 그렇다면 우리 회사의 중요 자료도 올릴 수 있는가?
          •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근간이 됨
      • HP 손창환 차장
        • 유럽에서는 유닉스 시장은 이미 내려가는 중

클라우드 프론티어 2012 (3rd) 세미나 더 읽기"

구름낀 하늘. 아침만 해도 비가 올 줄 알았다.

더 읽기"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