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엔진
Windows Live Writer의 Ping 서버 설정
블로그 팁으로 유명한 블로그나라님의 블로그를 보다가 Windows Live Writer를 접하고 애용하게 된 이후로, 블로그나라님이 올리는 Windows Live Writer 관련 팁들에 대해서 눈과 귀를 기울여 애청(?) 하고 있다.
특히나 Ping 서버 설정은 내가 Windows Live Writer를 새로 설치할 때 꼭 해주고 있다. 정보를 알게 된 것은 이곳인데, 아래와 같이 Windows Live Writer의 Ping 서버 설정에 들어가서 원하는 Ping 서버 목록을 한 줄에 하나씩 지정해 주면 되는 것이다.
아래는 블로그나라님의 글 인용.
한편, 윈도우 라이브 라이터(Windows Live Writer)를 이용해서 블로그에 글을 올린다면, 자동으로 원하는 서버에 핑을 해 줄 수 있습니다. 윈도우 라이브 라이터에서 ‘도구 > 옵션 > Ping 서버’ 까지 클릭한 후 ‘아래 URL로 핑 보내기에 체크 하고, 아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해 준 후 확인 버튼을 눌러 주면, 윈도우 라이브 라이터를 통해서 블로그에 포스트를 올릴 때 마다 자동으로 핑을 해 주게 됩니다. 원하는 핑 서버를 추가해도 상관 없습니다. 아래의 세 곳은 테크노라티, 구글 블로그 검색, 피드 버버의 핑 서버 주소 입니다. 피드버너를 이용하시는 분은 피드버너에 핑을 해주면 좀 더 빨리 자신의 피드버너 RSS 피드에 반영되게 됩니다.
Windows Live Writer의 Ping 서버 설정 더 읽기"
검색엔진 노출-
은 블로그 트래픽 증가의 큰 부분이다. 특히나 검색엔진에서 운영하는 로봇들에게 추적당하기(?)위해서는 많은 단서를 주어야 하는데, 일단은 Meta Tag부터 시작해서 본문의 내용, 제목까지 세세히 알아서 소위 ‘밑밥’을 잘 깔아 놓아야 한다. 그리고 난해하지 않은 문서 구조를 택하고 왠만하면 개방적인 로봇 정책을 써야 잘 수집되리라 생각한다. 또 중요한 것은 얼마나 괜찮은 ‘컨텐츠’를 구축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 같다. 좋은 내용이 많으면 싫어도 검색엔진의 각종 로봇들이 서로 달려들게 되어 있다.
덧. 내가 원하지 않는 내용이 검색엔진에 노출되지 않도록 신경써주는 ‘센스’를 발휘하라.